ArchiSketch

12. 텍스쳐 맵핑(Texture Mapping) 본문

V-Ray 1.x 메뉴얼(번역본)

12. 텍스쳐 맵핑(Texture Mapping)

서른잔치는끝났다 2016. 12. 23. 20:55


본 메뉴얼은 중학교 수준의 영어실력으로 번역한 발번역본입니다. 오역,의역이 아주 많고 오타가 있을수 있으니 참고하시기바랍니다.


돌, 나무, 그림, 포장박스, 스티커, 직물등의 대부분 재질을 만들때 반사(Reflection)와 굴절(Refraction)만으로 만들수는 없습니다. 이들 재질을 위해서는 텍스쳐 맵을 사용해야만 합니다. 다음은 텍스쳐 맵을 사용한 몇몇 예입니다.




Texture-Mapping_01.skp”파일을 불러옵니다.

이를 바로 렌더링하면 단지 반사 재질만 적용된 아래 첫번째 이미지를 얻게 될것입니다.

아래 두번째 이미지는 텍스쳐 맵을 적용한 결과물입니다.




1. 스케치업의 재질편집기(Material Editor)와 페인트 버킷툴을 이용해 객체에 재질을 지정해줍니다.

   텍스쳐 맵핑은 기본적으로 스케일이나 방향이 맞지 않습니다.




2. 하나의 면에 우클릭하고 “Texture>Positon”을 선택하고 텍스쳐의 회전와 스케일을 조절합니다.




3. 텍스쳐 맵을 원하는 만큼  스케일을 맞추거나 회전합니다. 우클릭을 하고 done을 선택합니다.




4. 스케치업 메뉴바에서 “View>Hidden Geometry”을 클릭합니다. 구와 원통의 면 하나를 선택하고 텍스쳐 맵의 스케일과 방향을 조절합니다.



5. 스케치업의 Materials창에서 스포이드 (Sample Paint)도구를 클릭하고 조정되어진 텍스쳐을 선택합니다.



6. 조정된 텍스쳐로 업데이트하기 위해 “Selection”툴을 사용해서 선택해줍니다. 한번에 선택되어진 지오메트리(기하하적 구조물, 도형이라고 표현하는게 좀 그렇네요. 그냥 지오메트리로 쓰겠습니다.)에 페인트 버킷(Paint bucket)툴을 이용해 적용해줍니다.




7. 브이레이 재질편집기(Material Editor)를 열면 미리 만들어둔 재질들이 보일것입니다.




8. 이 재질들에 반사(Reflection)나 굴절(Refraction) 레이어를 추가할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반사레이어를 추가한 것입니다.




Comments